https://www.acmicpc.net/problem/16236
16236번: 아기 상어
N×N 크기의 공간에 물고기 M마리와 아기 상어 1마리가 있다. 공간은 1×1 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 칸에는 물고기가 최대 1마리 존재한다. 아기 상어와 물고기는 모두 크기를 가��
www.acmicpc.net

문제
N×N 크기의 공간에 물고기 M마리와 아기 상어 1마리가 있다. 공간은 1×1 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 칸에는 물고기가 최대 1마리 존재한다.
아기 상어와 물고기는 모두 크기를 가지고 있고, 이 크기는 자연수이다. 가장 처음에 아기 상어의 크기는 2이고, 아기 상어는 1초에 상하좌우로 인접한 한 칸씩 이동한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큰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없고, 나머지 칸은 모두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작은 물고기만 먹을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같은 물고기는 먹을 수 없지만, 그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가 어디로 이동할지 결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더 이상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공간에 없다면 아기 상어는 엄마 상어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1마리라면, 그 물고기를 먹으러 간다.
-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1마리보다 많다면, 거리가 가장 가까운 물고기를 먹으러 간다.
- 거리는 아기 상어가 있는 칸에서 물고기가 있는 칸으로 이동할 때, 지나야하는 칸의 개수의 최솟값이다.
- 거리가 가까운 물고기가 많다면, 가장 위에 있는 물고기, 그러한 물고기가 여러마리라면, 가장 왼쪽에 있는 물고기를 먹는다.
아기 상어의 이동은 1초 걸리고, 물고기를 먹는데 걸리는 시간은 없다고 가정한다. 즉, 아기 상어가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있는 칸으로 이동했다면, 이동과 동시에 물고기를 먹는다. 물고기를 먹으면, 그 칸은 빈 칸이 된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와 같은 수의 물고기를 먹을 때 마다 크기가 1 증가한다. 예를 들어, 크기가 2인 아기 상어는 물고기를 2마리 먹으면 크기가 3이 된다.
공간의 상태가 주어졌을 때, 아기 상어가 몇 초 동안 엄마 상어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고 물고기를 잡아먹을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공간의 크기 N(2 ≤ N ≤ 2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공간의 상태가 주어진다. 공간의 상태는 0, 1, 2, 3, 4, 5, 6, 9로 이루어져 있고,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 0: 빈 칸
- 1, 2, 3, 4, 5, 6: 칸에 있는 물고기의 크기
- 9: 아기 상어의 위치
아기 상어는 공간에 한 마리 있다.
출력
첫째 줄에 아기 상어가 엄마 상어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고 물고기를 잡아먹을 수 있는 시간을 출력한다.
풀이
상어의 위치에서 각각의 물고기 까지 거리를 계산하는 것은 BFS로 구할 수 있다. (가중치가 없으면 BFS로 최단 경로를 구할 수 있고 DFS보다 시간복잡도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상어의 현재 크기보다 작거나 같은 물고기까지 거리를 계산하고,
가장 작은 거리를 가진 물고기를 우선으로 사냥에 나서는데, 같은 거리를 가진 물고기라면, 왼쪽 상단(2차원 배열에서 index가 작을수록)에 가까운 물고기를 먹게 되어 있으므로, 2중 for문을 구성할때 reversed를 사용해서 우측 하단에서 왼쪽 상단순으로 탐색하는것으로 해결했다.
상어가 이동하는 거리만큼 계속해서 더하면서 마지막에 더이상 상어가 먹이를 먹을 수 없을때까지 반복하면 된다.
# [파이썬 | BOJ | 16236] 아기 상어 | |
import sys | |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
read = sys.stdin.readline | |
sec = 0 | |
#상 하 좌 우 | |
d = [[-1, 0], [1, 0], [0, -1], [0, 1]] | |
def myprint(arr): | |
for a in arr: | |
print(a) | |
print() | |
#거리갱신 | |
def bfs(): | |
q = deque() | |
q.append([sharkX, sharkY]) | |
distance[sharkX][sharkY] = 0 | |
while q: | |
nowX, nowY = q.popleft() | |
for i in range(4): | |
nextX, nextY = nowX + d[i][0], nowY + d[i][1] | |
if 0 <= nextX < N and 0 <= nextY < N and board[nextX][nextY] <= sharkSize: | |
if distance[nextX][nextY] == -1: | |
q.append([nextX, nextY]) | |
distance[nextX][nextY] = distance[nowX][nowY] + 1 | |
#먹이감 탐색 및 이동 | |
def hunt(sharkSize, sharkExp): | |
global sharkX, sharkY, sec | |
nextX, nextY = -1, -1 | |
findFlag = False | |
for length in range(1, N**2): | |
for r in reversed(range(N)): | |
for c in reversed(range(N)): | |
if distance[r][c] == length and 0 < board[r][c] < sharkSize: | |
nextX, nextY = r, c | |
findFlag = True | |
if findFlag: | |
break | |
#print(nextX, nextY) # -1, -1이면 종료 | |
if nextX == -1 and nextY == -1: | |
return -1, -1 | |
#상어 이동 및 경험치, 크기 증가 | |
sharkExp += 1 | |
if sharkExp == sharkSize: | |
sharkSize += 1 | |
sharkExp = 0 | |
sec += length | |
#print("info",sharkSize, sharkExp, sec) | |
board[sharkX][sharkY] = 0 | |
distance[sharkX][sharkY] = -1 | |
board[nextX][nextY] = -1 * sharkSize | |
#myprint(board) | |
#상어 위치 정보 갱신 | |
sharkX, sharkY = nextX, nextY | |
return sharkSize, sharkExp | |
N = int(read()) | |
board = [list(map(int, read().split())) for _ in range(N)] | |
sharkX, sharkY = -1, -1 | |
sharkSize = 2 | |
sharkExp = 0 | |
for r in range(N): | |
for c in range(N): | |
if board[r][c] == 9: | |
sharkX, sharkY = r, c | |
board[r][c] = -1 * sharkSize | |
while True: | |
#bfs를 하면서 거리정보를 새로 갱신한다. | |
distance = [[-1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N)] | |
bfs() | |
#가장 최적의 먹이로 이동하고 아기상어의 정보를 갱신한다. | |
sharkSize, sharkExp = hunt(sharkSize, sharkExp) | |
#탈출 조건 | |
if sharkSize == -1 and sharkExp == -1: | |
print(sec) | |
break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 BOJ | 16235] 나무 재테크 (0) | 2020.05.02 |
---|---|
[파이썬 | BOJ | 16469] 소년 점프 (0) | 2020.05.01 |
[파이썬 | BOJ | 17825] 주사위 윷놀이 (0) | 2020.05.01 |
[파이썬 | BOJ | 17873] 새로운 게임2 (0) | 2020.05.01 |
[파이썬 | BOJ | 17281] ⚾ (0) | 2020.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