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파이썬 | BOJ | 18228] 펭귄추락대책위원회

문제

일우는 친구들과 펭귄 얼음깨기 게임을 하고 있다. 계속 떨어지는 펭귄이 불쌍했던 일우는 INU 송년 코드페스티벌 참가자들을 펭귄추락대책위원회로 초대했다. 이 펭귄 얼음깨기는 리메이크 된 버전으로, N개의 얼음이 1부터 N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게임은 얼음 1부터 N까지 순서대로 일렬로 나열된 공간에서 진행된다. 게임 시작 시, 펭귄 한 마리가 임의의 얼음 K위에 위치한다. 참가자는 몇 개의 얼음을 깨뜨려서 펭귄을 떨어뜨리는 것이 목적이다. 단, 펭귄이 밟고 있는 얼음은 깨뜨릴 수 없다. 각 얼음은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지고 있어서 얼음 i(1 ≤ i  N)를 깨뜨리는 데에 Ai만큼의 힘이 필요하다. 양옆으로 인접해 있는 얼음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봤을 때, 그룹의 끝이 얼음1 또는 N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이 얼음 그룹은 아래로 추락하게 된다. 아래 예시를 보자.

얼음4와 얼음1을 각각 2와 7의 힘을 가해 깨뜨릴 수 있다. 이때, 펭귄이 위치한 얼음2와 얼음3으로 구성된 그룹은 얼음1 또는 얼음5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아래로 추락하게 된다. 위 예시에서 펭귄을 떨어뜨릴 수 있는 최소 힘은 2+7=9가 된다.

펭귄추락대책위원회인 우리는 게임의 참가자가 펭귄을 떨어뜨릴 수 있는 최소 힘을 구해서 이를 보완하려고 한다. 펭귄을 떨어뜨릴 수 있는 최소 힘은 얼마일까?

입력

첫째 줄에 얼음의 개수를 의미하는 N(3 ≤ N ≤ 200,000)이 주어진다.

그다음 줄에는 i번째 얼음을 깨뜨리는 데에 드는 힘을 의미하는 정수 Ai(1 ≤ Ai ≤ 1,000,000,000)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예외적으로 펭귄이 위치한 곳은 -1로 표시되며, 펭귄이 얼음1 또는 N에 위치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출력

참가자가 펭귄을 떨어뜨릴 수 있는 최소 힘을 나타내는 정수를 출력하시오.

 

풀이

펭귄 위치를 기준으로 왼쪽, 오른쪽을 나눠서, 최소값들을 두개 더한다.

 

N = int(input())
arr = list(map(int, input().split()))
idx = arr.index(-1)
left = arr[:idx]
right = arr[idx+1:]

print(min(left) + min(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