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7143
17143번: 낚시왕
낚시왕이 상어 낚시를 하는 곳은 크기가 R×C인 격자판으로 나타낼 수 있다. 격자판의 각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다. r은 행, c는 열이고, (R, C)는 아래 그림에서 가장 오른쪽 아래에 있는 칸이다. 칸에는 상어가 최대 한 마리 들어있을 수 있다. 상어는 크기와 속도를 가지고 있다. 낚시왕은 처음에 1번 열의 한 칸 왼쪽에 있다. 다음은 1초 동안 일어나는 일이며, 아래 적힌 순서대로 일어난다. 낚시왕은 가장 오른쪽 열의 오른쪽 칸에 이동하
www.acmicpc.net
문제
낚시왕이 상어 낚시를 하는 곳은 크기가 R×C인 격자판으로 나타낼 수 있다. 격자판의 각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다. r은 행, c는 열이고, (R, C)는 아래 그림에서 가장 오른쪽 아래에 있는 칸이다. 칸에는 상어가 최대 한 마리 들어있을 수 있다. 상어는 크기와 속도를 가지고 있다.

낚시왕은 처음에 1번 열의 한 칸 왼쪽에 있다. 다음은 1초 동안 일어나는 일이며, 아래 적힌 순서대로 일어난다. 낚시왕은 가장 오른쪽 열의 오른쪽 칸에 이동하면 이동을 멈춘다.
- 낚시왕이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한다.
- 낚시왕이 있는 열에 있는 상어 중에서 땅과 제일 가까운 상어를 잡는다. 상어를 잡으면 격자판에서 잡은 상어가 사라진다.
- 상어가 이동한다.
상어는 입력으로 주어진 속도로 이동하고, 속도의 단위는 칸/초이다. 상어가 이동하려고 하는 칸이 격자판의 경계를 넘는 경우에는 방향을 반대로 바꿔서 속력을 유지한채로 이동한다.
왼쪽 그림의 상태에서 1초가 지나면 오른쪽 상태가 된다. 상어가 보고 있는 방향이 속도의 방향, 왼쪽 아래에 적힌 정수는 속력이다. 왼쪽 위에 상어를 구분하기 위해 문자를 적었다.

상어가 이동을 마친 후에 한 칸에 상어가 두 마리 이상 있을 수 있다. 이때는 크기가 가장 큰 상어가 나머지 상어를 모두 잡아먹는다.
낚시왕이 상어 낚시를 하는 격자판의 상태가 주어졌을 때, 낚시왕이 잡은 상어 크기의 합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격자판의 크기 R, C와 상어의 수 M이 주어진다. (2 ≤ R, C ≤ 100, 0 ≤ M ≤ R×C)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상어의 정보가 주어진다. 상어의 정보는 다섯 정수 r, c, s, d, z (1 ≤ r ≤ R, 1 ≤ c ≤ C, 0 ≤ s ≤ 1000, 1 ≤ d ≤ 4, 1 ≤ z ≤ 10000) 로 이루어져 있다. (r, c)는 상어의 위치, s는 속력, d는 이동 방향, z는 크기이다. d가 1인 경우는 위, 2인 경우는 아래, 3인 경우는 오른쪽, 4인 경우는 왼쪽을 의미한다.
두 상어가 같은 크기를 갖는 경우는 없고, 하나의 칸에 둘 이상의 상어가 있는 경우는 없다.
출력
낚시왕이 잡은 상어 크기의 합을 출력한다.
풀이
코드가 굉장히 지저분한데,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낚시꾼이 위치를 바꿔서 열단위로 한칸씩 이동하게 구현한다
낚시꾼이 위치한 열의 상어를 잡는데, 위쪽에 있는 상어를 우선으로 잡기때문에 R을 작은값부터 탐색하고, 하나를 잡으면 break를 한다.
상어를 잡으면, 상어들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list인 sharks에서 상어를 제거한다.
상어들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sharks list를 돌면서, 각 상어들을 이동시킨다.(잡은 상어는 이미 제거되어서 이동하지 못한다.)
각 상어들의 이동후 위치와 방향을 계산해서, 새로 sharks 배열에 넣어준다.
이러한 상어 정보들을 board위치에 동기화 시켜준다.
이때 처음 짰던 코드는, 상어가 speed 만큼 이동하기 때문에 speed만큼 계속해서 반복문을 돌려서 BFS에서 다음 칸을 탐색하는것처럼, 상어들의 위치를 인덱스 범위에 맞게 탐색하면서, 인덱스를 벗어나면 방향을 바꿔주면서 위치를 한칸씩 이동시키는 작업을 speed 만큼 반복했다. 그랬더니 시간초과가 떠서 그냥 O(1)시간에 순간이동 할 수 있도록 수식적으로 위치를 계산해서 바로 이동시켜주는 식을 구성해서 시간초과를 해결할 수 있었다.
상어의 다음 위치를 계산하는 식이 굉장히 복잡하고 가독성이 떨어지는데
대략적인 개념만 소개하자면

지금 index 4에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상어가 있다고 가정하자
상어가 14만큼 이동하면 현재 상황과 같아진다. 즉 2*(N-1)이 한 주기가 된다.
따라서 모든 이동거리를 2*(N-1)로 나눠서 나머지만큼만 계산해 주면 된다.
따라서 현재 (index + 이동거리) % (2*(N-1)) 을 한값이 N-1 (7)이상이면 index값을 7-index로 역전시켜주면 되고, N-1보다 작으면 그대로 index를 적용시켜 주면된다.
방향 같은 경우에도 기본 아이디어는 같은데, 방향이 바뀌게 되는 주기인 (N-1)마다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현재 index에 따라서 위 같은 경우에는 4부터 방향이 바뀌게 되고, 그 후론 주기가 N-1이기 때문에 ((이동거리- (N - index)) // (N-1))와 같이 계산을 할 수 있다.
위의 경우에는 처음 상어의 방향이 index가 증가하는 방향일때 이고, (이 문제에서는 방향이 2, 4일때) 반대 방향일때는 식을 조금 변형시키면 된다.
위 방법은 다음 위치를 계산하는 다양한 방법중에 일부이고, 본인마다 최선의 식을 구성해서 만들면 된다.
# [파이썬 | BOJ | 17413] 낚시왕 | |
import sys | |
read = sys.stdin.readline | |
def myprint(arr): | |
for a in arr: | |
print(a) | |
print() | |
def swap(direction): | |
if direction == 1: | |
return 2 | |
elif direction == 2: | |
return 1 | |
elif direction == 3: | |
return 4 | |
elif direction == 4: | |
return 3 | |
def sharkToBoard(): | |
board = [[[] for _ in range(C)] for _ in range(R)] | |
for eachShark in sharks: | |
if len(eachShark) < 6: | |
continue | |
idx = eachShark[0] | |
sharkR, sharkC = eachShark[1], eachShark[2] | |
speed = eachShark[3] | |
direction = eachShark[4] | |
size = eachShark[5] | |
board[sharkR-1][sharkC-1].append([idx, speed, direction, size]) | |
board[sharkR-1][sharkC-1].sort(key = lambda x : -x[3]) | |
if len(board[sharkR-1][sharkC-1]) > 1: | |
sharks[board[sharkR-1][sharkC-1][1][0]].clear() | |
board[sharkR-1][sharkC-1] = board[sharkR-1][sharkC-1][:1] | |
return board | |
#위 아래 오른쪽 왼쪽 | |
d = [[-1, 0], [1, 0], [0, 1], [0, -1]] | |
R, C, M = map(int, read().split()) | |
#r, c, s, d, z | |
#(r, c)는 상어의 위치, s는 속력, d는 이동 방향, z는 크기이다. | |
#d가 1인 경우는 위, 2인 경우는 아래, 3인 경우는 오른쪽, 4인 경우는 왼쪽을 의미한다. | |
sharks = [[i] + list(map(int, read().split())) for i in range(M)] | |
temp = [[] for _ in range(M)] | |
fisher = 0 | |
ans = 0 | |
#board init | |
board = sharkToBoard() | |
#myprint(board) | |
while fisher <C: | |
fisher += 1 | |
#print("낚시꾼위치 ", fisher) | |
#낚시꾼이 잡는다. | |
deadShark = -1 | |
for r in range(R): | |
if board[r][fisher-1]: | |
deadShark = (board[r][fisher-1][0][0]) | |
ans += board[r][fisher-1][0][3] | |
board[r][fisher-1].clear() | |
break | |
if deadShark > -1: | |
#print(ans) | |
sharks[deadShark].clear() | |
#print("상어잡음.") | |
#myprint(sharks) | |
#상어 이동 | |
for eachShark in sharks: | |
if len(eachShark) < 6: | |
continue | |
index = eachShark[0] | |
sharkR, sharkC = eachShark[1]-1, eachShark[2]-1 | |
speed = eachShark[3] | |
direction = eachShark[4] | |
size = eachShark[5] | |
if direction == 1: | |
directionTemp = ((speed - (sharkR + 1)) // (R-1)) + 1 | |
if directionTemp % 2: | |
direction = swap(direction) | |
idx = (R-1) - sharkR | |
idx = (idx + speed) % (2*(R-1)) | |
if idx >= R-1: | |
idx = 2*(R-1) - idx | |
idx = (R-1) - idx | |
nextR = idx | |
nextC = sharkC | |
elif direction == 2: | |
directionTemp = ((speed - (R - sharkR)) // (R-1)) + 1 | |
if directionTemp % 2: | |
direction = swap(direction) | |
idx = sharkR | |
idx = (idx + speed) % (2*(R-1)) | |
if idx >= R-1: | |
idx = 2*(R-1) - idx | |
nextR = idx | |
nextC = sharkC | |
elif direction == 3: | |
directionTemp = ((speed - (C - sharkC)) // (C-1)) + 1 | |
if directionTemp % 2: | |
direction = swap(direction) | |
idx = sharkC | |
idx = (idx + speed) % (2*(C-1)) | |
if idx >= C-1: | |
idx = 2*(C-1) - idx | |
nextR = sharkR | |
nextC = idx | |
elif direction == 4: | |
directionTemp = ((speed - (sharkC + 1)) // (C-1)) + 1 | |
if directionTemp % 2: | |
direction = swap(direction) | |
idx = (C-1) - sharkC | |
idx = (idx + speed) % (2*(C-1)) | |
if idx >= C-1: | |
idx = 2*(C-1) - idx | |
idx = (C-1) - idx | |
nextR = sharkR | |
nextC = idx | |
sharks[index] = [index, nextR+1, nextC+1, speed, direction, size] | |
#print("상어이동함..") | |
#myprint(board) | |
#myprint(sharks) | |
#print("board이동..") | |
#같은곳에 상어가 두마리 이상이 있으면 큰애만 살아남는다. | |
board = sharkToBoard() | |
#myprint(board) | |
#myprint(sharks) | |
print(ans)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 BOJ | 17471] 게리맨더링 (0) | 2020.05.03 |
---|---|
[파이썬 | BOJ | 17142] 연구소3 (1) | 2020.05.03 |
[파이썬 | BOJ | 16235] 나무 재테크 (0) | 2020.05.02 |
[파이썬 | BOJ | 16469] 소년 점프 (0) | 2020.05.01 |
[파이썬 | BOJ | 16236] 아기 상어 (0) | 2020.05.01 |